J.
‘태초에 자연, 자연은 첨단이다’:
지리산 아트팜 비엔날레와 氣오스모시스 생태미학의 탄생
起老 洪可異 (Kai Hong), Ph.D. 예술철학, 전 MIT 교수
<Copyright©2025 by Kai Hong>
지리산은 한국인의 상상력 속에서 특이한 위치를 차지해왔다. 산을 넘어선 존재, 국립공원을 넘어선 생태적 영혼의 용기(甕器)처럼 느껴지는 곳. 오래전부터 이 산은 생명의 기운, 곧 기(氣)가 모이고 순환하는 자리로 여겨져 왔다. 마치 바람의 결과 돌의 호흡, 계곡의 습기와 인간의 숨결이 서로 교차하는 거대한 양자 공명 회로(Quantum Resonance Circuit)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런 지리산의 품속에 자리한 지리산 아트팜(Jirisan Art Farm)은 더 이상 ‘예술 공간’이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오히려 예술과 자연, 기술과 인간, 감각과 세계가 기-양자 파동의 공명과 삼투(Qiosmosis)를 통해 하나의 진동 장(場)으로 합류하는 발생적 환경, 혹은 존재론적 양자 실험실이라 해야 더 정확할 것이다.
2025 지리산 에코 & AI 국제 아트 비엔날레는 바로 이 특이한 현장 조건 속에서 펼쳐졌다. 올해의 주제는 단호하면서도 도발적이었다. “태초에 자연, 자연은 첨단이다.” 이 문장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단순한 생태주의나 미래 기술에 대한 낙관이 아니다. 이 주제는 인간이 자연을 ‘배경’으로 두고 기술을 ‘전면’에 두어 온 이분법적 사유를 근본적으로 전복한다. 자연이 기술의 반대편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기원이며, 자연은 큐비트(Qubit) 정보로 인코딩된 가장 오래되고 정교한 양자 정보 시스템이다. 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자연은 그 심층 구조—곧 양자 장 동역학—를 다시 드러내게 된다는 역설적 진실을 말한다. 비엔날레는 이 명제를 설명하지 않는다. 그 자체를 하나의 장(場)으로 구현한다.
그래서 이번 비엔날레의 작품들은 개별적 오브제가 아니라, 서로 다른 주파수와 위상을 가진 하나의 기오스모시스 양자 연속체로 읽혀야 한다. 창작자 박은수, 김해민, 안종연, 김일권, 그리고 지리산 아트팜을 설계한 김성수의 비전은 각기 다른 매체·다른 감각·다른 언어를 지니고 있지만, 깊은 차원에서는 모두 하나의 존재론적 합창을 이루고 있다. 이 연속체는 물질–신호–빛–대기–환경이라는 다섯 개의 진동 층위를 따라 구성되며, 바로 이 다층적 파동 동역학이 이번 비엔날레의 실질적 내용이자 구조이다.
전시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박은수의 작업은 가장 원초적인 층위, 곧 물질의 기원을 호출한다. 박은수의 조각은 마치 지구의 깊은 지층에서 밀려 올라온 어떤 원초적 기둥 같다. 거칠고 강한 표면의 질감, 지층처럼 겹겹이 쌓인 색의 층위, 위로 솟구치는 형태적 긴장은 ‘형상 이전의 세계’를 떠올리게 한다. 그것은 인간의 언어와 상징이 생기기 전, 자연이 스스로를 형성하려 몸부림치던 바로 그 순간을 재현하는 듯하다. 지구의 원물질이 처음 ‘자기 자신을 일으켜 세우던’ 생명의 첫 몸짓. 박은수의 조각은 그것을 조용한 돌기둥처럼, 그러나 분명한 생명적 긴장으로 압축해낸다. 그의 이 작업은 기(氣) 에너지가 응집되어 매우 낮은 진동수에서 응축된 파동 묶음(Wave Packet)으로 물리적 형태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의 대형 원형 회화 역시 단순한 장식적 구조가 아니다. 동심원의 형태는 우주의 진동과 맥동을 시각화한 듯하며, 그 확장적 구조는 마치 세계가 태초의 파동에서 어떻게 구조를 획득해 가는지를 보여주는 우주 생성의 다이어그램처럼 읽힌다. 표면은 빽빽한 물질성으로 채워져 있어, 파동과 구조가 추상적 개념을 넘어 구체적 감각 세계로 내려오는 통로를 마련한다. 박은수의 작업 속에서 자연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세계의 구조를 낳는 힘 자체로 등장한다.
비엔날레는 곧바로 다른 차원으로 이동한다. 김해민의 영상 설치가 등장하는 순간, 우리는 물질의 안정된 세계에서 양자 정보 신호의 불안정한 세계로 넘어간다. 그의 영상 작업 “불량접촉(Contact Error)”은 오래된 브라운관 TV 속에서 재생된다. 화면 속에는 다리만 덩그러니 나타나 있거나, 전혀 맥락 없는 형상이 끼어드는 등, 신체와 기계, 자연과 신호가 양자장적 경계에서 충돌하며 흔들리는 순간들이 이어진다. 김해민의 TV는 단순한 재생 장치가 아니다. 그것은 기-양자 파동이 디지털 매개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비공명(Dissonance)의 막, 곧 큐비트 정보의 ‘간섭 오류(Interference Error)’가 발생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는 존재론적 경계이다. 그의 작업에서 ‘신호’는 이미 기술적 양자 매개의 틀 안에서 인식되며, 기술은 이미 인간과 자연의 경계를 파동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신호의 불안정성이 지나간 자리를 이어받는 것은 안종연의 빛이다. 그의 설치작업 “기억공작소 II”는 어둑한 공간을 빛의 미시적 진동으로 채우며, 유리 구슬과 빛의 굴절로 이루어진 작은 우주를 형성한다. 이 빛은 단순히 밝음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전파하는 양자(Photon) 그 자체로서, 감정의 리듬과 내적 호흡을 조율하는 공명 파동처럼 느껴진다. 관객은 빛의 점들 사이를 걸으며, 빛이 가지는 가장 원초적 속성—정보, 기억, 생성—을 다시 체험하게 된다. 우주의 최초 표현 매개가 빛이었다면, 안종연의 작업은 그 원초적 언어를 오늘의 감각 속에서 다시 살아 움직이게 한다.
그리고 이 빛이 확장되면, 비로소 김일권의 대기적 양자 스크린에 도달한다. 그의 작업은 안개나 미세한 수증기 위에 영상을 투사해, 지구의 호흡 자체를 예술의 표면으로 삼는다. 이 스크린은 결코 고정되지 않는다. 바람, 습도, 온도—이 모든 변수들은 기-양자 파동의 매질(Medium)로서 작용하여 이미지의 존재 방식, 즉 파동 묶음(Wave Packet)의 응집과 해소를 실시간으로 바꾼다. 영상은 흔들리고, 분해되고, 다시 응집되며, 자연은 그 자체로 가장 정교한 양자 인터페이스가 된다. 김일권의 작업을 통해 우리는 깨닫는다. 인간이 만든 어떤 스크린보다, 자연의 대기가 큐비트 정보를 전파하며 생동하는 훨씬 더 첨단적인 스크린이라는 사실을.
그러나 이 모든 층위가 유기적 조화를 이루는 데는 김성수가 구축한 지리산 아트팜이라는 환경이 결정적이다. 그는 이곳을 단순한 전시장이 아니라, 예술의 발생 조건을 조성하는 장치로 만들었다. 지리산의 기운, 지역 공동체의 정서, 작가들의 체류 경험, 자연의 빛과 물과 공기—이 모든 것들이 예술의 일부가 된다. 아트팜은 예술·생태·기술·공동체가 서로를 양자 동역학적으로 조율하는 기오스모시스적 양자 공명장(場)이며, 이번 비엔날레의 존재론적 바탕이다.
결국 비엔날레 전체는 하나의 거대한 양자 연속체로 읽힌다. 박은수의 작품은 물질의 태초(응축된 파동 묶음)를, 김해민은 신호의 경계(양자 간섭), 안종연은 빛의 미시적 우주(정보 운반체), 김일권은 대기의 거대한 호흡(양자 파동장), 그리고 김성수의 아트팜은 이 모든 것을 조율하는 기오스모시스적 양자 공명장을 구현한다. 이렇게 볼 때 이번 비엔날레는 단순한 주제전이 아니라, 자연과 기술이 서로를 낳고 서로를 드러내는 우주적 양자 구조를 드러내는 하나의 거대한 존재론적 지도다.
태초에 자연이 있었다.
그러나 자연은 그 자체로 가장 오래된 양자 정보 기술이었다.
그리고 오늘 우리가 ‘첨단’이라 부르는 것들은
결국 자연이 오랫동안 품어온 양자장 동역학의 더 깊은 얼굴을 드러내는 방식에 지나지 않는다.
이번 지리산 비엔날레는 생태주의와 테크놀로지가 충돌하는 시대에,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라는 대신—그 둘의 원초적 양자적 일체성을 환기한다. 자연은 첨단이며, 첨단은 자연의 큐비트적 변주다. 이 단순하지만 깊은 진실이야말로 앞으로의 예술, 그리고 문명의 방향을 가리키는 새로운 나침반이 될 것이다.
끝.
.
“In the Beginning, Nature; Nature is the Cutting Edge”
The Jirisan Art Farm Biennale and the Birth of Qi Osmosis Eco Aesthetics
Kai Hong, Ph.D.
©2025 Kai Hong
Jirisan has always occupied a singular place in the Korean imagination. It is not simply a mountain, nor merely a national park. For many, it feels like a vessel of ecological spirit, a kind of amphora holding the breath of the land. Over centuries, Jirisan has been regarded as a site where vital energy—qi (氣)—gathers, circulates, and resonates. To walk its slopes is to sense a convergence of forces: the breath of stone, the moisture rising from valleys, the currents of wind, and the respiration of human beings. One might imagine the mountain as a vast quantum resonance circuit, where natural and human rhythms intersect in a field of invisible vibration
It is within this embrace that the Jirisan Art Farm has taken root. To describe it as an “art space” is inadequate. It is better understood as a generative environment, or even an ontological quantum laboratory, where art and nature, technology and humanity, sensation and world converge into a single vibrational field through the resonance and osmotic flow of qi-quantum waves—what I call Qiosmosis.
The 2025 Jirisan Eco & AI International Art Biennale unfolded precisely within these extraordinary conditions. Its theme was both uncompromising and provocative: “In the beginning, Nature; Nature is the Cutting Edge.” This phrase does not simply express ecological idealism or optimism about future technologies. Rather, it overturns the entrenched dichotomy that places nature as background and technology as foreground. Nature is not the opposite of technology—it is its origin. Nature itself is the oldest and most sophisticated quantum information system, encoded in qubits. The paradox is clear: the more technology advances, the more it reveals the deep structures of nature—its quantum field dynamics. The Biennale does not explain this thesis; it embodies it as a living field.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this, one must pause over the phrase “cutting edge.” In common parlance, it refers to the newest, most advanced frontier of human invention. But here, the Biennale insists that nature itself is the cutting edge. The forests, rivers, and atmosphere are not primitive backdrops awaiting technological mastery; they are already the most refined quantum systems, repositories of information older and more intricate than any supercomputer. What we call “innovation” is, in truth, a rediscovery of structures nature has long harbored. The Biennale’s theme thus challenges us to rethink progress: not as a march away from nature, but as a deepening into its hidden architectures.
The works presented at Jirisan must therefore be read not as isolated objects but as a single continuum of resonance. Each artist contributes a different frequency, a different phase, yet together they form one ontological chorus. The continuum unfolds across five strata—matter, signal, light, atmosphere, and environment—each representing a vibrational layer of existence.
Park Eun su summons the primal force of matter. His sculptures rise like pillars from the earth’s strata, their rough textures and layered colors evoking a world before form, before language. They recall the moment when nature struggled to shape itself, when raw material first condensed into life’s gesture. His circular paintings visualize cosmic pulsations, diagramming how the universe acquires structure from primordial waves. In Park’s work, nature emerges not as backdrop but as the generative force of world making.
Kim Hae min shifts us into the unstable realm of signals. His video installation Contact Error, played on an old cathode ray television, presents fragmented images—disembodied legs, dissonant forms—where body and machine, nature and signal collide at quantum boundaries. The TV becomes more than a device: it is a threshold where qi-quantum waves clash with digital mediation, producing interference errors that paradoxically generate new information. Signal itself is reconfigured as a quantum medium, reshaping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ature.
Ahn Jong yeon inherits this instability with light. His installation Memory Factory II fills a dim space with microscopic vibrations refracted through glass beads, forming a miniature cosmos. Light here is not mere illumination but photon—carrier of information, memory, and creation. As viewers walk among luminous points, they re experience light’s primal role as the universe’s first medium of expression.
Kim Il kwon turns atmosphere into a screen. His work projects images onto mist and vapor, turning the earth’s breath into the surface of art. This screen is never fixed; wind, humidity, and temperature act as quantum media, altering the cohesion and dissolution of wave packets in real time. Images tremble, disperse, and re form, revealing nature itself as the most advanced quantum interface—far surpassing any human made screen.
Finally, Kim Sung su, architect of the Jirisan Art Farm itself, provides the decisive environment where all these strata harmonize. More than a venue, the Art Farm is a device that generates the conditions of art. The mountain’s energy, the spirit of the local community, the artists’ lived experiences, and the elements of light, water, and air all become part of the work. The Art Farm is a Qiosmotic quantum resonance field where art, ecology, technology, and community co tune one another.
Taken together, the Biennale reads as a vast quantum continuum: Park Eun su embodies matter’s origin, Kim Hae min the boundary of signals, Ahn Jong yeon the microcosm of light, Kim Il kwon the breath of atmosphere, and Kim Sung su the resonant field of environment. This Biennale is not a thematic exhibition but a cosmic map of the quantum structures through which nature and technology mutually generate and reveal one another.
In the beginning, there was Nature.
But Nature itself was already the oldest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y.
And what we now call “the cutting edge” is nothing more than the unveiling of deeper faces of quantum field dynamics long harbored by Nature.
In an age when ecology and technology seem to collide, the Jirisan Biennale refuses to choose between them. Instead, it recalls their primordial quantum unity. Nature is the cutting edge; the cutting edge is Nature’s qubit variation. This simple yet profound truth may well serve as the new compass for the future of art—and of civilization itself.
END